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간략형 청소년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of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Short Form(KS scale)

상담학연구
약어 : -
2008 vol.9, no.4, pp.1703 - 1722
DOI : 10.15703/kjc.9.4.200812.1703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상담학회
6429 회 열람

정보통신부의 인터넷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는 청소년이 작성하기에 너무 길기 때문에 현장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20문항의 간략형 인터넷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 Short form: KS 척도)의 개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 KS 척도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검사는 정보문화진흥원의 지원 아래 전국 규모로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K척도 40문항과 문제행동을 묻는 문항 17문항을 포함하여 전체 57문항의 초등학생용·중고등학생용 조사지를 구성하였으며, 참여 학생수는 전국적으로 3,016명이었다. 간략형 척도 구성을 위해 2002년 완성된 K척도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잠재적위험군, 일반사용자군을 통계적으로 잘 판별해 내는 척도와 문항들을 판별분석을 통해 구분하고, 전문가 평가와 자문회의를 통하여 KS 척도를 구성하였다. KS척도로 구분한 고위험군, 잠재적 위험군, 일반사용자군과 K척도로 구분한 세 집단을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수준의 중첩이 확인되어 KS척도가 타당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KS척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신뢰도 점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KS척도의 타당도 분석 중 준거 타당도 분석을 위해 청소년위기척도를 함께 비교해 본 후, 추가로 조사한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문항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KS척도의 하위척도들과 청소년위기척도와의 상관을 살펴보았을 때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상관을 보여, 상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후, 구인 타당도 분석을 위해, 공분산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5개의 요인구조가 타당하며, 각 하위 척도 간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short version of K scale. K Scale that has been used was too long to fill out for youth and hard to screen faking good or bad. Therefore, in this study, we cut down 40 items of K scale into 20 items. These scales were developed for youth who are prone to internet addiction. KS scale increased sensitivity of screening yet decreased items in half for the sake of testee. KS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K scale. 3,016 K12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included K scale, KS scale, and Youth Risk Scale, which was developed at Korea Youth Counseling Institute. 20 items of KS scale were selected from K scale(2002) using determinant analysis. High risk group was defined above 70 of standardized score and low to medium risk group is between 65 and 69 in standardized sco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mpositions of each group(High risk, low to medium risk and general groups) from KS scale and K scale, both scales predicted 70~80 percent of each group in same way. Therefore, the validity of KS scale was achieved.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KS scale, Cronbach's alpha for the elementary students score was .887 and Cronbach's alpha for middle school students score was .909. Compared to Cronbach's alpha in K scale(.944 for elementary students and .955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liability of KS scale became a little lower. Yet the reliability of the KS sca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analysis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we compared the score of KS scale with the scores of internet addiction in Youth Risk Scale. The results of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49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60 for elementary students. In short, the student who has high score in KS scale also has high score in Youth Risk Scale. Also, the correlation scores of sub-factors between KS scale and Youth Risk Scale are around. 40. therefore, we could confirm correlation between KS scale and Youth Risk Scale. For the analysis of construct validity, we tes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2.0. The result supported the model of 6 factors in the KS scale(NFI = 0.983; CFI = 0.990; RMSEA = 0.034; for elementary students, NFI = 0.985; CFI = 0.997; RMSEA = 0.019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se scales are for youth. KS scale could be a check list for an internet user to test their proneness to internet addiction by him/herself.

인터넷, 중독, 인터넷중독척도, 청소년, 위험군
Internet,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at-risk group

  • 1. [학술지] 김교헌 / 2001 / 청소년들의 컴퓨터 사용 실태와 컴퓨터 중독 / 학생생활연구 / 28 (1) : 41 ~ 1
  • 2. [학술지] 김동민 / 2008 / 인터넷 과다사용 접수면접진단지 개발 / 열린교육연구 / 16 (1) : 103 ~ 1
  • 3. [학술대회] 김동일 / 2006 / 청소년 위기 평정척도 개발 연구 / 한국교육학회 2006년 춘계 학술대회 교육심리학회
  • 4. [단행본] 김동일 / 2007 / CYS-NET 서비스 효과성 검증 연구-서비스 효과 및 만족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상담원
  • 5. [학술지] 김동일 / 2008 / 청소년 인터넷중독 관찰자용 척도 개발 / 상담학연구 / 9 (3) : 1201 ~ 3 kci
  • 6. [학술지] 김동일 / 2005 / 청소년 인터넷 중독 모형 분석 / 상담학연구 / 6 (4) : 1307 ~ 4 kci
  • 7. [단행본] 김병구 / 2007 / 인터넷중독 가족상담 프로그램 개발연구 / 한국정보문화센터
  • 8. [단행본] 김선우 / 2002 / 인터넷 중독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 9. [단행본] 김종범 / 1999 / 인터넷 중독 하위 집단의 특성 연구-자존감,우울,외로움,공격성을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 10. [단행본] 김청택 / 2002 / 인터넷 중독 상담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정보문화센터.
  • 11. [학술대회] 김현수 / 2007 / 온라인게임 중독 내담자의 특성 연구 / 청소년 인터넷중독 상담과 치료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 12. [단행본] 노형진 / 2003 / SPSS/AMOS에 의한 사회조사분석-범주형 데이터 분석 및 공분산구조분석- / 형설출판사
  • 13. [기타] 박경호 / 2001 / 국내 인터넷 컴퓨터 등의 사이버 중독 실태조사. 정보통신학술연구과제 지정조사 00-05. 정보통신부
  • 14. [단행본] 송명준 / 2000 / 인터넷 중독이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 세 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 15. [단행본] 윤재희 / 1998 /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구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 고려대학교
  • 16. [단행본] 안정임 / 2000 / 청소년 인터넷 중독증후군 및 음란물 접촉 행위에 관한 연구 / 한국 여성 민우회 미디어 운동본부
  • 17. [단행본] 이소영 / 2000 /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고려대학교
  • 18. [보고서] 이순묵 / 2005 / 성인 인터넷중독 진단 척도 개발연구
  • 19. [단행본] 정여주 / 2005 / 청소년 인터넷 중독 모형 분석 / 서울대학교
  • 20. [단행본] 채규만 / 2002 / 인터넷중독상담전략 / 한국정보문화센터
  • 21. [단행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2006 / 2006 인터넷 중독 실태 조사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22. [단행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2007 / 청소년 인터넷 중독 특성 분석-KADO 내담자를 중심으로- / 한국정보문화진흥원
  • 23. [단행본] 황상민 / 2001 /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실태조사 / 연세대학교
  • 24. [학술지] Alex, S. Hall / 2001 / Internet Addiction: College Student Case Study Using Best Practices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 23 : 312 ~
  • 25. [학술지] Davis, R. A. / 2001 / A cognitive-behavior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PIU) / Computer in Human Behavior / 17 : 187 ~
  • 26. [기타] Goldberg, I. / 1996 /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 27. [기타] Griffiths M.D. / 1996 / “Psychology of computer use; Some comments on ‘addicted use of Internet’ by Young”, Psychological Reports
  • 28. [학술지] Griffiths, M. D. / 1998 / Dependence on computer games by adolescents / Psychological Report / 82 : 475 ~
  • 29. [학술지] Griffiths M. D. / 2004 / Online computer gaming: a comparison of adolescent and adult games / Journal of Adolescence / 27 : 87 ~
  • 30. [학술지] Young, K. S. / 1999 / Internet addi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 Student BMJ / 99 : 351 ~
  • 31. [기타] Young, K. S. / 1999 / Net compulsion: The latest treads in the area of Internet addiction
  • 32. [학술지] Young K. S. / 1997 /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 1 : 25 ~
  • 33. [기타] Young K. S. / 1998 /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 34. [기타] Young, K. S. / 2000 / Tangled in the WEB. Understanding Cybersex from Fantasy to Addiction
  • 35. [기타] Young, K. S. / 2000 / A Therapist Guide to Assess and Treat Internet Addiction
  • 36. [기타] Zenhausen, B. / 1995 / Preliminary Draft of the DSM-Ⅳ Community on Cyberdisorders. Posted to Listserv: Virtpsy Februrary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