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16
13.59.2.16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인의 여가활동 잠재유형과 영향요인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Determinants among Koreans: A Latent Class Analysis
신아름 ( Areum Shin ) , 김석호 ( Seokho Kim )
조사연구 22권 2호 1-31(31pages)
DOI 10.20997/SR.22.2.1
UCI I410-ECN-0102-2022-300-00070052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여가활동 유형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고, 각 유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수행하고, 여가활동 유형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사회경제적 특성,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여가자원 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여가활동의 잠재집단 유형은 ‘일상적 여가형’, ‘스포츠·관광 몰입형’, ‘취미오락 중심형’, ‘적극적 옴니보어형’, ‘문화예술 애호가형’ 등 5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비교한 결과 첫째, 교육수준, 가구소득, 거주지역 등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구분 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성별과 연령은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차별화하는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혼인여부와 일인가구 여부는 부분적으로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유형을 구분짓는 요인이다. 반면 연령대별 자녀 수는 대부분 ‘일상적 여가형’과 다른 네 가지 유형을 구분짓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자원의 경우 여가시간이 증가할수록 ‘적극적 옴니보어형’과 ‘문화예술 애호가형’보다 ‘일상적 여가’형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여가비용이 많을수록 ‘스포츠·관광 몰입형’과 ‘취미오락 중심형’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이 연구는 한국인의 다양한 여가활동 지형을 읽어내고 서로 다른 여가활동에 관련된 원인을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위, 여가자원 차원으로 구분해 설명함으로써 향후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심층적 정보를 제공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a distinctive leisure activity pattern among Koreans. However, though the leisure pattern consists of several leisure activities, existing studies primarily concentrated on each leisure activity. To bridge the empirical gap, the present study conducts Latent Class Analysis to identify subgroups of leisure activities. The data come from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atent class analysis identified five distinct subgroups with different leisure activity types: ‘Casual Leisure’, ‘Sports and Tourism Lover’, ‘Hobby and Entertainment-Centered’, ‘Active Omnivore’, ‘Culture and Art Enthusias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belonging to leisure activity patterns were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residential area. Second,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nd age were found to differentiate four other types from the'Casual Leisure', and the marital status and single-family status were partially distinguished from the ‘Casual Leisure’ appea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by age grou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ird, as leisure time increases, it is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Casual Leisure’ than the ‘Active Omnivore’ and the ‘Culture and art Enthusiast’. The current research offers substantial findings that provide leisure topography in Korean society. Also, it can be extend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at affect the leisure activity type.

Ⅰ. 서론
Ⅱ.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