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204.250
3.20.204.250
close menu
KCI 등재
장애인삶 패널조사 표본설계 연구
A Study on Sample Design in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김현지 ( Hyunji Kim ) , 김태용 ( Tae-yong Kim )
조사연구 22권 2호 105-128(24pages)
DOI 10.20997/SR.22.2.4
UCI I410-ECN-0102-2022-300-000700557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구축한 장애인삶 패널조사 표본설계 과정과 패널구축 결과를 살펴본다. 장애인삶 패널조사는 장애등록 이후 장애인이 장애수용 과정과 사회관계 속에서 겪는 삶의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개인 · 가족 · 사회적 측면에서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마련을 목적으로 하는 종단적 조사이다. 따라서 조사대상은 2015년부터 2017년 사이 보건복지부에 장애등록을 마친 신규 등록장애인이다.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의 모집단 분포와 성별 분포가 편중되어 있다는 점과 장애아동이 조사대상에 포함된 것은 장애인삶 패널조사 표본설계에서 고려한 주요 요소이다. 이에 장애유형과 장애정도를 층화변수로 선정하여 층별 결정된 표본크기 내에서 성별 층화하여 표본크기를 결정한다. 표본배분은 각 층에서 35개 표본을 우선할당 한 후 제곱근 배분하고, 최종 층별 표본크기는 층별 배분된 표본을 95% 신뢰수준에서 기대상대표준오차 6% 수준을 목표한다. 표본추출은 주어진 예산 제약하에서 필요한 표본 수를 충분히 확보하고, 조사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이중추출법(double sampling)을 적용한다. 따라서 읍 · 면· 동을 하나의 집락으로 간주하여, 1상(first phase)의 읍·면·동으로 추출된 읍 ‧ 면‧ 동 내에 거주하는 모든 장애인을 1상 표본으로 구성한다. 이로부터 최종 표본인 장애인을 추출한다. 최종 6,121명의 장애인 표본이 패널로 구축되었으며, 가중치을 이용하여 산출한 상대표준오차는 전국 단위에서 5% 미만으로 나타났다. 세부단위에서도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is a longitudinal survey to understand and to look into a dynamic change of life as having a disability. We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nd well-being in the aspect of diversity to a person with disability, their family and community life after onset of disability in terms of acceptance of disability. The collected samples are relatively early people with disabilities having a identification of person with disabilities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om 2015 to 2017. This paper proposes the sample design for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which have been beginning 2018. What we focus on is that the distributions for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 degrees of disabilities not only is skewed, but also is including young people with disability(under the age of 18) for the target samples to the panel. Therefore the sample size is determined by defining as stratum the types of disabilities and the degrees of disabilities. After, the strata are stratified into groups by gender. Finally, the size of sample is allocated into the determined strata by modified square root allocation for reliable comparison results. The sufficient size of samples to obtain the reliable comparison results is selected by double sampling(two-phase sampling) to the cost-effectiveness. Thus in the first-phase, a town-township-neighborhood is considered as a cluster. And all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is living in the selected town-township-neighborhood are the samples in the first-phase. Then final samples for the Disability and Life Dynamics Panel are selected from the samples in the first-phase. The survey results based on the collected samples show that the relative standard error(RSE) for estimates of main items is under 5% for the nation.

Ⅰ. 서론
Ⅱ. 장애인삶 패널조사 표본설계
Ⅲ. 패널구축 결과
Ⅳ.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